티스토리 뷰

주식정보

코인 용어 러그풀 뜻, 디카르고,오징어게임 코인 사기 사례

shdljkasjhdklasjdlkasd 2021. 12. 13. 23:40

오늘은 코인 용어인 러그풀 뜻과 디카르고, 오징어 게임 코인 사기 사례를 정리하였습니다.

 

 

코인 용어 러그풀 뜻

러그풀 뜻은 가상화폐 시장에서 프로젝트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돌연 중단하여 투자금을 가로채는 투자 회수 사기를 말합니다.

 

rug pull은 '양탄자를 잡아당겨 그 위에 있는 사람을 쓰러트리는 행위'로 갑작스럽게 중요한 지원을 중단한다는 뜻하고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금융 시장에서는 유동성을 회수하는 행위로 매도의 악순환을 초래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행위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자주 나오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무료로 토큰을 상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화 된 암호화폐 거래소와 달리 감사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인 사례는 도지 코인의 밈 코인으로 화제를 모았던 진도 지코인 개발자가 전체 물량의 15%에 달하는 진도 지코인을 한꺼번에 매도하면서 가격이 97%나 폭락했던 사건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과도하게 많은 코인 물량이 한꺼번에 풀려 시세가 급락하는 현상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를 막을 수 있는 규제가 없어 금융당국과 업계의 새로운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러그풀 사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는 디카르고의 유통량이 2021년 9월부터 급격히 늘어나 전체 물량의 10%가 시장에 풀렸고 디카르고 개발자가 보유하고 있던 물량 수억 개를 업비트를 통해 매도했다는 의혹이 투자자 커뮤니티를 통해 제기되었습니다.

 

시세 상승에 맞춰 개발팀이 차익을 실현했을 것이라는 주장인데, 이러한 이슈로 디카르고는 최고 320원에 거래되었다가 일주일 만에 시세가 40% 이상 급락하여 현재는 190원대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업비트와 디카르고는 각각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인데, 업비트는 프로젝트 측에 따로 공시 의무를 부과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당사에 책임이 없다고 말하였습니다.

 

업비트는 "프로젝트 측에 적극적인 방법으로 투자자들에게 주요 정보를 고지할 것을 당부하고 있으며, 모든 자산이 건전하게 유통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본 사안에서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이에 편승해 발행되었던 '스퀴드 코인'이 하루 만에 2,000% 넘게 급등하였다가 5분 만에 0달러로 급락하는 사태도 발생하였습니다.

 

스퀴드 코인 개발자들은 210만 달러(약 24억 9,000만 원)에 달하는 코인을 현금화한 뒤 잠적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처럼 코인 물량이 한꺼번에 풀리면서 시세가 급락하는 등의 현상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국내를 비롯해서 전 세계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이 상황을 예방하거나 막을 방법이 전무하다는 것입니다.

 

 

일부 거래소는 자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빗썸은 코인 발행 재단과 코인이 소수에 의해 좌우되는 걸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해당 코인에 대한 기술 임의의 토큰 소각, 발행, 자산이 동 여부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단의 유통계획 상 예정되지 않는 경우 임의의 물량이 유통되지 않도록 내부 관제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이상 징후가 발생할 경우 바로 동결시킵니다. 코인원은 프로젝트의 예치금액 및 사용자 여부 확인 또한 감사 리포트를 통한 버짓 확인, 팀 구성 및 운영의 투명성, VC 투자 여부 등을 확인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드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