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금거래 목적 뜻 의미와 증권계좌 개설 시 확인 이유 정리
집금거래 목적 뜻 의미와 증권계좌 개설할 경우 확인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집금거래 뜻 의미
돈을 거두고 모으는 행위를 집금이라 하고 돈을 모으기 위해 하게 되는 거래 행위 그 자체를 집금거래라고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식을 매수하지 않고 증권계좌에 돈을 보관하거나 또는 이체 용도로 사용하며, 관련되어 있는 용어로 집금계좌, 비 집금계좌, 벌집 계좌 등이 있습니다.
돈을 거둬서 모아두는 목적의 계좌를 집금계좌라 하는데, 돈을 모아두는 목적이 아닌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계좌를 비 집금계좌,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아 신고나 승인 없이 이용되는 계좌를 벌집 계좌라고 합니다.
집금거래 목적 뜻 의미
집금거래 목적 뜻 의미는 사용하는 금융기관에 따라 다른데, 크게 증권사에서의 사용과 은행에서 사용이 다릅니다.
증권사에서의 사용은 비대면을 통해 금융계좌를 개설 후 그 계좌를 증권사 계좌에 대한 목적과 맞지 않게 사용하거나 돈 자체를 불법적인 목적으로 거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증권계좌 개설 시 확인하는 이유는 목적에 맞는 사용처인지를 확인하는데, 증권계좌의 목적인 주식 거래가 아닌 단순 돈을 쌓아두는 용도는 취지와 어긋난다 판단합니다.
주식 등 투자에 대한 목적이 아닌 목적으로 계좌 개설을 하는 경우에 반려가 될 수도 있고 증권계좌 개설 시 확인을 위해 증권사에서 확인을 위해 연락이 갈 수도 있습니다. 은행사에서는 집금을 오픈 뱅킹을 활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로 타행 은행사의 예금을 한 번에 가져오는 기능을 말합니다.
은행 기준
은행사에서 집금은 오픈 뱅킹을 활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은행의 계좌로 타행 은행사의 예금을 한 번에 가져오는 기능을 말하고 기준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전액 : 출금할 수 있는 금액 전액을 이체하는 것
2. 일정액 : 출금할 수 있는 금액에서 원하는 금액만큼을 이체하는 것
3. 일정 금액단위 : 출금할 수 있는 금액에서 일정한 금액을 이체하는 것
4. 일정잔액 유지 : 출금할 수 있는 잔액에서 기준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이체하는 것
5. 일정액 이상(전액) : 출금할 수 있는 잔액에서 기준금액 이상인 경우 그 이상의 금액을 이체하는 것
집금 서비스 자체가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는 아닙니다.
예전과 다르게 최근에는 입출금 정보를 은행이 서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오픈뱅킹 이용이 간편해졌으며, 고객의 입장에서는 오픈뱅킹을 통해 집금 서비스를 이용하면 수수료 절감과 하나의 어플로 돈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상화폐 거래소 79개가 보유하고 있는 입출금 계좌 94개 중 14개가 위장 계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입출금 계좌 발급이 가능한 3,503개 금융회사를 상대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에서 가상자산 사업자 79개 법인과 집금 계좌 94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가상화폐 거래소는 고객의 가상자산 거래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원칙적으로는 실명확인이 되어있는 입출금 계좌를 사용해야 합니다.
집금 계좌는 은행권 계좌가 59개, 상호금융 17개, 우체국 계좌 17개였습니다.
집금 계좌 이용 유형으로는 사업 계좌 겸용 집금 계좌, 집금 및 출금 별도 계좌, 전자지급결제대행사 가상계좌 서비스, 코인 거래 수수료 집금 계좌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거래소 11곳의 경우 타인 명의의 위장 계좌를 통해 입출금이 이뤄진 계좌 14개가 확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