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두나무 상장 두나무 관련주 한화투자증권,우리기술투자,비덴트 주가 주식 실적 전망

shdljkasjhdklasjdlkasd 2021. 12. 13. 23:29

두나무 상장 관련하여 관련주인 한화투자증권, 우리 기술투자, 비덴트 주가 및 주식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나무 상장

두나무는 2014년 2월부터 소셜 트레이딩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는 증권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두나무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꼽히는 비트렉스와 협업하여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출범하였는데, 업비트는 그해 하반기 국내 1위이자 세계 1위 암호화폐 거래량을 기록하였습니다.

 

2021년 11월 초 하이브가 두나무와 협업한다고 발표하면서 공개한 지분 스왑 비율에 따르면 두나무 기업가치는 20조 원에 달하는데, 1주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590,000원으로 2013년 주당 40원에 불과하던 기업가치가 8년 만에 14,750배 성장한 셈입니다.

비상장주식을 거래 시장에서도 두나무 주가는 500,000원 중후 반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외 상장 이야기도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기업공개(IPO) 일정에 대해 두나무 측은 “당사가 성장함에 따라 여러 가지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두나무 상장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두나무 관련주 한화투자증권 주가

1962년 7월 19일에 설립된 한화투자증권은 종합자산관리회사로 주요 산업 분야는 주식, 채권, 선물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986년 11월 25일 코스피 증권 시장에 한화투자증권 주가 주식은 상장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13일 종가 기준 한화투자증권 주가 주식은 6,180원으로 시가총액 1조 3,259억 원, PER 10.39배, EPS 595원,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는 193위입니다.

 

한화투자증권 배당금

2019년 한화투자증권 배당금 : 현금 0원

2020년 한화투자증권 배당금 : 현금 0원

 

 

한화투자증권 주식은 2021년 최대 실적에 이어 비상장사 지분투자 수익을 보고 있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의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단순한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 지분 6.14%(2,069,450주)를 보유하고 있는데, 지난 2월 기존 주주였던 퀄컴으로부터 583억 원에 두나무 주식을 사들였습니다.

 

최근 두나무 기업 가치가 18조 원까지 상승하면서 현재 관련 지분 자산은 1조 3,681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은 보안, IT 블록체인, 게임 등으로 투자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데, 2021년 3분기에는 음악 저작권 거래 플랫폼 뮤직 카우 지분 1.5%를 20억 원에 인수하면서 IT 업종 등 비상장사 지분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한화투자증권 실적은 매출액 4,170억 원, 영업손익 422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두나무 관련주 우리 기술투자 주가

1996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우리 기술투자는 벤처캐피털 업체로 주요 산업 분야는 신기술사업 금융, 주식투자, 사채인수, 자금대여, 할부금융, 시설대여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00년 6월 9일 국내 코스닥 증권 시장에 우리 기술투자 주가 주식은 상장하였습니다. 2021년 12월 13일 종가 기준 우리 기술투자 주가는 9,410원으로 시가총액 7,904억 원, PER 2.63배, EPS 3,581원,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는 98위입니다.

 

우리 기술투자 배당금

2019년 우리 기술투자 배당금 : 0원

2020년 우리 기술투자 배당금 : 0원

 

 

우리 기술투자 주식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최근 가상화폐의 하락으로 주식 가격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가상자산 시세와 관련해서 전문가들의 분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대출 업체 넥소 공동창업자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레버리지 거래로 인해 계단식 매도 주문과 청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트코인 가격이 35,000달러 밑으로 다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하였습니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의 테이퍼링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그동안 과열론에 시달리던 가상자산 시장에 직격탄을 던졌다며, 긴축 리스크로 대표적인 위험자산 가격이 타격을 받은 것”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우리 기술투자 실적은 영업수익 2,521억 원, 영업이익 2,499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두나무 관련주 비덴트 주가

2002년 3월 20일에 설립된 비덴트는 HD 디지털 방송용 디스플레이의 개발 및 판매 업체로 주요 사업 분야는 방송 장비 제공과 NFT(대체 불가능 토큰), 메타버스 등의 신사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12월 1일 코스닥 증권 시장에 비덴트 주식은 상장되었습니다. 2021년 11월 12일 종가 기준 비덴트 주가는 19,100원으로 시가총액 8,724억 원, PER 5.39배, EPS 3,541원,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는 88위입니다.

 

비덴트 배당금

2019년 비덴트 배당금 : 현금 배당 0원

2020년 비덴트 배당금 : 현금 배당 0원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비덴트 주식에 대해 NFT과 메타버스 등의 신사업을 통한 멀티플 확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하였지만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비덴트 주식은 방송 장비 기업에서 가상자산 사업자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원화 가상자산 거래소는 정부의 규제 도입 때문에 4대 거래소로 축소되었고 실질적으로는 2개 업체(업비트, 빗썸)가 경쟁 중이며, 신규 진입자가 제한적인 가운데 계열사인 빗썸의 점유율 상승과 신사업을 통한 생태계 형성은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에 힘을 입어 비덴트의 펀더멘탈은 점차 강화되고 있는데,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업비트와 빗썸을 중심으로 재편을 통해 점차 제도권으로의 편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규제의 적용은 오히려 시장 조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고 NFT, 메타버스 사업을 고려하면 시장의 성장성은 여전히 크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비덴트 실적은 매출액 31억 9,745만 원, 영업이익 5억 7,015만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