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철강주 종목 고려제강,동양철관,동국제강 주가 주식 실적 배당금 전망

shdljkasjhdklasjdlkasd 2021. 12. 12. 23:23

철강주 종목인 고려제강, 동양철관, 동국제강 주가 및 주식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철강주 고려제강 주가

고려제강은 철강선 제조 업체로 1945년 9월 22일에 설립되었으며, 고려제강 주가 주식은 1976년 5월 25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산업 분야는 PC강선, 선재 2차 제품, 와이어로프, 비드와이어, SC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10일 종가 기준의 고려제강 주가 주식은 3,94520,750원으로 시가총액 4,772억 원,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는 369위입니다.

 

고려제강 배당금

2019년 고려제강 배당금 : 90원

2020년 고려제강 배당금 : 100원

 

 

2021년 상반기 실적 상승과 관련하여 고려제강 주식 관계자는 <뉴스워커>와의 통화에서 전년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여파로 기저효과가 발생, 공장이 휴동 하는 등 매출이 줄었지만 2021년 상반기에는 수요가 상승하면서 하반기도 실적이 좋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고려제강 관계자는 “2020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저효과가 발생하였고, 공장 휴동 등으로 매출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였으며, 현재는 잘 극복해 매출이 상승한 상태”라고 말하였습니다.

고려제강 실적은 2021년 3분기 매출액 3,896억 원, 영업이익 218억 원, 순이익 351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하였습니다. 한편, 고려제강 그룹 계열사가 12년 동안 부당한 지원을 주고받다가 적발되어 20억 원대 과징금을 물게 되었습니다.

 

철강주 동양철관 주가

동양철관은 강관 제조 업체로 1973년 6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동양철관 주가 주식은 1977년 3월 5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력 산업 분야는 수도용 도복장 강관, 주물, 가스관 제조 및 아파트 건설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10일 종가 기준의 동양철관 주가 주식은 1,280원으로 시가총액 1,522억 원,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는 704위입니다.

 

동양철관 배당금

2019년 동양철관 배당금 : 0원

2020년 동양철관 배당금 : 0원

 

 

동해가스전을 활용하여 상용 기술 실증을 통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CS) 조기 상용화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는 소식에 동양철관 주식 등 관련주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CCS에 최대 1조 4,000억 원을 투자하는데, 저장소 확보와 신규 저장소 탐사사업 추진 등에 4,080억 원, 저장 운영기술 및 저장 효율 혁신과 기술개발 등에 1조 90억 원,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상용기술 조기 확보 등 국제협력에 120억 원이 각각 투입됩니다.

 

동양철관은 CCS 상용화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파이프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3분기 동양철관 실적은 매출액 288억 원, 영업손실 20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철강주 동국제강 주가

1954년 7월 7일에 설립된 동국제강은 철강 제조기업으로 주요 산업 분야는 철근, 형강, 후판, 봉강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988년 5월 9일 코스피 증권 시장에 동국제강 주식은 상장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10일 종가 기준 동국제강 주가 주식은 16,450원으로 시가총액 1조 5,699억 원, PER 3.47배, EPS 4,734원,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 174위입니다.

 

동국제강 배당금

2020년 동국제강 배당금 : 현금 200원

2021년 동국제강 배당금 : 현금 375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동국제강 주식에 대해 3분기에 13년 만에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기대치를 상회한 점에 주목한다며 목표주가는 24,000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제시하였습니다.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985억 원으로 2020년 동기 대비 248% 증가하였으며, 2021년 3분기 3,261억 원을 기록한 뒤 최대치를 기록하였는데,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건설경기 호조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냉연후판 등 판재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이어 "2021년 4분기 국내 철강업황은 3분기까지 가파른 가격 상승에 따른 피로감과 중국 철강 가격 하락으로 인해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계절적 비수기인 1분기까지 이런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국내 아파트 분양 호조와 최근 중국 경기지표 안정을 고려하면 성수기인 2022년 2분기부터 업황은 제반 등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중국의 탄소배출 저감 노력으로 2021년 하반기에 접어들어 중국의 철강 생산량과 수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2021년을 기점으로 동사의 이익체력도 과거보다 구조적인 개선이 예상된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