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관련주 나이벡,박셀바이오,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주식 및 배당금 실적 전망
바이오 관련주인 나이벡, 박셀 바이오,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가 및 주식 배당금 실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오 관련주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국가 안보 산업으로 변모하였으나 소수 선진국과 대형 제약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우선 바이오 주권 확보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는 등 새 성장 동력 발굴에 나설 계획입니다.
삼성의 바이오 사업은 글로벌 위탁개발 생산과 바이오시밀러를 양대 축으로 삼아 성장해왔는데, 현재 건설 중인 삼성 바이오로직스 4 공장이 완료되면 위탁개발 생산 분야 생산능력은 62만 L로 압도적 세계 1위로 도약하게 됩니다.
바이오 관련주 종목은 나이벡, 피플바이오, 레고켐바이오, 파미셀, 박셀 바이오, 삼성 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이 있습니다.
나이벡 주가
나이벡 주식은 2022년 5월 31일 종가 기준의 나이벡 주가 주식은 25,000원으로 시가총액 2,489억 원,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는 372위입니다.
의료용품 및 의약 관련 제품 제조 업체로 2004월 1일 27일에 설립되었으며, 나이벡 주가 주식은 2011년 7월 13일 국내 코스닥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 주력 산업 분야는 인공 차폐막, 인공 피부, 인공 골 대체물, 세포 생리활성 펩타이드, 치아 미백제, 골이식재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이벡 배당금
2020년 나이벡 배당금 : 0원
2021년 나이벡 배당금 : 0원
나이벡 주식은 ‘바이오 소재 해외 임상’에 대해 국가 자금을 지원받는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 기술 상용화 지원’에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 주도로 선정이 진행되었으며, 당사는 정부로부터 3년 동안 16억 5,000만 원 규모의 해외 임상시험 비용을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한편 나이벡은 이번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해외 임상시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안정적 임상 데이터를 확보 및 해외 시장 공략에 적극 대응할 방침입니다.
2022년 1분기 나이벡 실적은 골재생 바이오 소재의 유럽향 수출 물량이 확대되면서 사상 최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하였는데, 하반기에는 중국향 바이오 소재 수출이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2022년 1분기 나이벡 실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3% 상승한 73억 5,000만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하였는데,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6억 1,000만 원, 12억 4,000만 원을 달성하였습니다.
박셀 바이오 주가
2020년 9월 22일에 국내 코스닥 증권 거래소에 박셀 바이오 주가 주식은 상장되었습니다. 2022년 5월 31일 종가 기준 박셀 바이오 주가 주식은 46,700원으로 시가총액 7,109억 원, PER N/A배, EPS -373원, PBR 25.03배,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는 94위입니다.
2010년 2월 18일에 설립된 박셀 바이오 주식은 항암면역치료제 연구 및 개발 업체로 주요 산업 분야는 면역치료제 개발 및 동물용 의약품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박셀 바이오 배당금
2020년 박셀 바이오 배당금 : 현금 배당 0원
2021년 박셀 바이오 배당금 : 현금 배당 0원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박셀 바이오 주식은 개발 중인 모노 바디 기반 차세대 CAR-T, 세포치료제 국제특허를 출원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CAR-T 치료제는 차세대 항암면역세포치료제로,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추적할 수 있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면역세포 일종인 T세포에 결합하여 환자의 면역계를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암을 치료합니다.
높은 치료 효과로 꿈의 항암제라고 불리고는 있지만, 고형암의 경우에는 환자마다 다른 항원을 발현하는 이형질 성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암세포를 인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항원 변이가 비교적 단순한 혈액암 위주로 개발되었습니다.
2022년 1분기 박셀 바이오 실적 매출액은 0원, 영업손실 17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가
2022년 5월 31일 종가 기준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가 주식은 847,000원으로 시가총액은 60조 2,844억 원이며, 주요 재무제표 PER 118.26배, EPS 7,162원, PBR 13.12배, BPS 64,542원이고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는 4위입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가 주식은 코스피 시장에 2016년 11월 10일 상장되었습니다.
2011년 4월 22일에 생물학적 제제 제조 업체로 설립된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식의 주요 산업 분야는 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 배당금
2021년 삼성 바이오로직스 배당금 : 현금 0원
2022년 삼성 바이오로직스 배당금 : 현금 0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식에 대해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 생산(CDMO) 사업 규모를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목표주가 10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제시하였습니다.
2022년 하반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매출액은 1조 208억 원, 영업이익 3,275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4.1%, 영업이익은 10.6% 증가하는 것입니다.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당사는 세포 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 생산사업 진출과 더불어 10월 부분 가동이 예정된 4 공장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산여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글로벌 항체의약품 위탁개발 생산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 유지가 기대된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5 공장을 착공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또 6 공장 등 추가 신공장을 짓기 위한 제2바이오캠퍼스 부지를 확보하는 중입니다. 이어 “4 공장은 이미 2021년 말부터 글로벌 제약사 다수와 수주계약 체결에 성공하였으며, 2022년 중순까지 수주 활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단, 최근 100% 자회사가 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실적이 삼성 바이오로직스 실적에 연결되어 편입되는 경우 삼성 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이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이번 하반기 실적 추정에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실적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